스타트업 성장에 가장 중요한 것.
스타트업과 기업을 성장시키기 위한 제품 및 서비스(프로덕트)는 너무나 많습니다.
하지만, 실질적인 성장 해결책은 '핵심지표'를 선택하고 집중시켜야 합니다.
시장 정의
기술과 서비스 중심으로 재편되는 시장
스케일업스쿼드가 정의하는 그로스마켓은 아래와 같습니다.
스타트업이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제품 및 서비스(프로덕트)', '세일즈/마케팅', '팀 및 실무진', '자금', '인사/노무'를 중심으로 시장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요즘에는 아이템을 실험하고 사업을 성장시키는 방식이 기술의 발전과 맞물려 진화하고 있습니다. 처음부터 완전한 프로덕트와 시스템을 구축하기 보다는 고객과 시장 반응을 살피며 프로덕트를 개선하며 나아가는 '린스타트업', '애자일' 개념을 활용합니다.
채용 없이도 문제를 해결하는 아웃소싱과 개인 프리랜서 연결 서비스 등도 증가하고
데이터로 확인하고 관리하는 서비스도 늘어나고 있어요.
스타트업 입장에서는 프로덕트 개발, 세일즈와 마케팅, 인사와 노무 등과 관련한 주요 인력이 회사 내부에 부재하더라도 늘어나는 다양한 대안들을 이것 저것 도입하고 사용해보며 가장 적합한 방식을 찾습니다.
요즘 부상하는 마테크(MarTech, Marketing Technology)는 마케팅(Marketing)과 기술(Technology)의 합성어로, 마케팅 전략과 실행을 기술 기반으로 효율화하고 자동화하는 모든 도구와 솔루션을 의미합니다.
디지털 환경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마테크 시장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으며, 특히 데이터 기반 마케팅과 퍼포먼스 마케팅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더욱 주목받고 있습니다.
마테크 개념을 넘어,
스케일업스쿼드는 스타트업 성장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포함한 시장을 '그로스 테크'로 정의하고, 그로스 프로덕트를 만듭니다.
우리가 집중하는 것
결국, 핵심지표의 성장.
스타트업 성장의 결론은 핵심지표 입니다.
스케일업스쿼드는 "그래서 핵심지표가 얼마나 성장되었어?"의 답을 프로덕트로 냅니다.
스타트업의 성장과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다양한 핵심지표(Key Metrics)를 활용하고 이를 위해 필요한 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합니다.
이 지표들은 사업 형태, 성장 가능성, 시장 반응 등을 객관적으로 분석하고, 투자자나 이해관계자에게 성과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모델(B2B, B2C, SaaS, 이커머스 등)에 따라 중요한 지표가 다릅니다.
스업스가 정의하는 핵심지표를 높이기 위한 6단계
수 많은 이해관계자들
스타트업 성장 생태계의 이해
스타트업 성장 생태계는 스타트업이 창업부터 성장, 확장, 성공 또는 회수(Exit)까지의 과정을 지원하는 다양한 요소와 참여자들로 구성된 환경입니다.
이 생태계는 창업 초기 기업들이 빠르게 성장하고 시장에 안착할 수 있도록 돕는 역할을 합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창업자(Entrepreneurs)
2. 투자자(Investors)
3. 보육 기관 및 지원 조직
4. 네트워킹 및 커뮤니티
5. 전문 서비스 제공자
6. 시장 및 고객
7. 정책 및 제도
8. 글로벌 진출 및 해외 네트워크